1. 리터럴 (Literal)
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미리 정해놓은 값의 형태를 말한다. 변하지 않는 데이터(고정된 값) 그 자체를 의미한다.
리터럴 값으로 산술 연산 할 수 있다.
# 리터럴의 종류 :
숫자 (정수, 실수), 문자 (한 글자), 문자열 (두 글자 이상), 논리(참/거짓)
2. 변수 (Variable)
데이터(data)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. 그리고 저장된 값을 변경될 수 있다.
-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,
i) 값의 의미를 부여해서 코드 의미를 파악하는데 용이하다.
ii) 재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에서 가독성을 높여주고 유지보수성에 좋다.
# 자료형(Type)
자바 데이터의 기본적인 타입은 참조 자료형 1가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총 8가지가 있다.
▶ 기본저장형
- 논리 타입 (1바이트/ true / false): boolean
- 문자 타입 (2바이트/ ' '): char
ㄴ 문자열(" ") 타입 : String (4바이트) ▶ 참조 자료형(Primary type)
- 정수타입:
1) byte (1바이트)
2) short (2바이트)
3) int (4바이트)
4) long (8바이트)
- 실수타입:
1) float (4바이트)
2) double (8바이트)
- 굵은 글씨는 일반적으로 자주 쓰이는 자료형이다.
- byte 가 담는 공간으로 byte가 클수록 많은 것을 담을 수 있다는 뜻이다.
- 참조자료형은 값이 아니라 정수형이 가지고 있는 주소값으로 나온다.
- 보통 컴퓨터는 문자만 쓰면 문자를 숫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char 자료형을 쓰면 숫자가 나온다.
따라서 진짜 숫자를 쓰고 싶으면 앞서 나온 자료형을 변경해서 입력하면 된다.
- 변수는, 한 개의 데이터만 보관하고, 마지막에 대입한 값을 저장하고 있다.
## 변수 에러 발생시키는 규칙
- 같은 코드블록(scope) 내에 같은 이름을 가지면 안 된다.
- boolean형은 가급적 긍정의문문으로 만든다.
- 변수명을 예약어로 만들 수 없다.
- 숫자로 시작해서 변수명을 지으면 안 된다.
- 특수문자는 _ 랑 $ 만 사용 가능하다.- 대소문자로 다르게 구분할 수 있다.(→ camel-case)
* Camel Case: 여러 단어를 혼합해서 사용한다면 첫 번째 단어는 소문자, 두 번째 단어부터는 대문자로 시작한다.
예) firstName
# 변수의 선언
자료형 변수명 ;
예) Char a = 'A'
String b= "안녕"
- 생성한 변수에 값을 저장한다. = 의 뜻은 equal 이 아닌, 대입연산자로 표현한다.
3. 상수 (Constant)
값이 고정되어 변경할 수 없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. (변수와 반대)
따라서 초기화 이후 재할당은 불가하다. 고정된 값이다!!
예) final int NUM;
NUM = 100;
→ NUM 은 100의 값으로 고정되어 있다(초기화). 다른 데이터(값)로 변경불가
# 상수 선언 방법
final 자료형 변수;
[배경사진 출처: 사진: Unsplash의Pankaj Patel ]
'프로그래밍 언어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열(Array) (0) | 2024.06.25 |
---|---|
패키지(Package), 임포트(import) (0) | 2024.06.25 |
메소드(Method) (0) | 2024.06.25 |
연산자(Operator) 종류와 연산자의 우선순위 (0) | 2024.06.25 |
오버플로우 (Overflow), 언더플로우(Underflow) / 형변환(Typecasting) (0) | 2024.06.25 |